개별적 사연들(Individual Episodes), 2022

Individual Episodes, 2022, Variable Dimensions, the objects in the <Re-Cover Project>, printed texts
<개별적 사연들>은 <Re-Cover Project>를 위해 모이고 작업된 사물들로 이루어져있는 미로 설치물이다.
관람객은 돋보기를 들고 미로를 돌아다니며
사물들 속에 작가에 의해 숨겨진 문장들을 찾아내는 작업을 통해 개별적 가치에 더 집중 할 기회를 마련한다.
이 흰색의 오브제들은 <Re-Cover Project>를 통해 변형된 사물들이며
이미 사회에서 공유되고 인지되고 사용되는 물건들로서 사회를 이루는 개인들을 상징한다.
게다가 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흰색은 비워버리는 동시에 그 자체로 채우는 역할을 한다.
이 흰색은 보는 이의 삶과 하나의 사물이 맺고 있었던 감정과 기억을 연결할 매개체이며
하나의 사물이, 더나아가 하나의 개인이 가지는 그 존재 그대로의 의미를 강화하고 더욱 순수한 경험을 돕는다.
-
<Individual Episodes> is a maze-like installation composed of objects that have been gathered and reworked for the <Re-Cover Project>.
As viewers navigate the maze with a magnifying glass, they are invited to search for hidden phrases embedded by the artist within the objects—creating a moment to pause and reflect on the unique value of each individual story.
These white objects are familiar items—once shared, recognized, and used in society—but now transformed through the Re-Cover Project to symbolize individuals who make up our collective world.
The color white plays a dual role: it empties and fills at the same time. It acts as a vessel, allowing viewers to project their own memories, emotions, and associations onto each object.
In doing so, this white becomes a medium of connection—linking one’s own life with the traces held by the objects. Each item, and by extension, each person, is given space to be recognized just as they are, inviting a more intimate and purified experience.






작업 속 텍스트 )
지금 이순간도 어떠한 "기준"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세상에는 절대로 와해될 수 없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삶 속 불가피하게 부지런히 쫓아야하는 사회는 지배의 위치인가 혹은 피지배의 위치인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회적 관계는 형성된다.
그렇다면 개인은 피지배의 위치에 놓이는 것일까.
개별적인 관계들은 어느 순간 집단적으로 변모되어 있으며 순차적인 규모의 확장을 거듭한다.
우리의 일상과 삶의 방식은 사회에 침윤된 채, 그것에 둘러싸여 영위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 또한 사회로부터 구성되어 왔다.
우리는 사회가 우리를 갈아 끼우고 소비할 때에도 그 사회란 것의 부산함과 완강함, 그리고 무게를 경험한다.
모든 국면에서 우리는 인간적인 고안에 의해 빚어진 여러 사회에 속해지며
개인의 생존을 위해 나날을 구조화하는 그것의 자연적 힘들을 견뎌 나간다.
어떠한 조직과 그 속에 소속된 개인은 동등하게 상생할 수 없는 것일까.
사회화라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교육 방식이 한 개인의 고유한 성향이 자리 매김 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닌가 고민한다.
우리는 사회가 만들어낸 시선을 따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유치원을 가고, 학교를 가고 입학 한 이후로 몇년동안 경험하게 되는 단체생활과 공 또는 사교육,
졸업 이후 입사한 직장에서 수동적, 반복적으로 맞추게 되는 수많은 기준들과
‘나’를 감추고 ‘기준’과 ‘시선’에 맞는 사람으로 거듭나야하는 인고의 시간,
이 모든 것들이 과연 개인의 정서와 성향에 조금이라도 눈을 맞추어주고 있기는 할까 궁금하다.
물론 이처럼 보편화된 사회의 모습과 그것을 개인으로 하여금 부지런히 쫓아 가게 만드는 역할이
그간의 역사 속에서 가장 효율적이며 다수의 구성원이 납득 가능한 수준에 맞추어
사회 제도와 문화가, 그리고 시선과 기준이 정립된 것 이겠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우리가 사용하는 공산품의 품질, 모양, 성능 등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즉, 사회가 요구하는 틀에 맞춰 준비되어 나온다. 그야말로 레디 메이드 인생
우리는 사회에 속하는 순간부터 특정한 규율에따라 우리 자신을 끼워 맞춘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는 놀 때, 밥먹을 때, 공부 할 때, 잠을 잘 때.
그리고 사회적 타임라인에서는 학교에 가야할 때, 취업을 해야 할 때, 결혼을 해야 할 때를 배워서
몸을 그 틀에 맞춘다.
자신의 신체를 자의로 움직이고 사용하는 것을 자유로운 활동이 아닌 일탈로 간주하는 사회의 기준선.
규율을 지키기와 길들이기.
우리가 몸을 움직이는 방식은 모두 일정한 리듬과 속도로 정해져 있다.
인간은 원래 해가 지면 잠에 들고 해가 뜨면 잠에서 깨지만
산업화 이후 우리는 기계의 주기에 맞춰서 생활하는 모습을 보인다. 기계가 켜있는 한 움직이고 깨있게 된다.
우리는 스스로를 회복시킬 수 있는 시간 조차, 기력조차 일 하는데에, 분주히 사회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끌어다 쓰고있지않나.
레디메이드 인생이다.
우리의 자아를 기성품처럼 어떠한 기준과 체계, 사회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하여금
섣불리 규정하고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기준에서 내려와
눈을 낮춰 시선을 맞추고 하나하나 들여다 보기를.
Embedded Text )
To those who, even at this very moment, strive to meet certain “standards.”
In the world, there exist power relations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dominated that can never be fully dismantled.
If so, is the society that we must inevitably pursue with diligence in our lives positioned as the dominant—or the dominated?
From the moment we are born, social relationships are formed without our will.
Does this mean that the individual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dominated?
Individual relationships, at some point, transform into collective ones, repeatedly expanding in scale.
Our daily lives and ways of living are permeated by society, surrounded by it on all sides.
We ourselves have also been shaped by society.
Even when society replaces and consumes us, we experience its busyness, its stubbornness, and its weight.
In every phase, we belong to various societies shaped by human design, enduring their natural forces that structure our days for the sake of individual survival.
Is it impossible for any organization and the individuals within it to coexist as equals?
I wonder whether the generalized, standardized processes of socialization obstruct the formation of a person’s unique disposition.
We make relentless efforts to follow the gaze society has created.
We attend kindergarten and school; for years we undergo collective life and public or private education.
After graduation, at our workplaces, we passively and repeatedly conform to countless standards.
We endure the time of concealing the “self” to become a person aligned with “standards” and “expectations.”
I question whether any of this truly meets the emotional and personal needs of the individual.
Of course, such a standardized form of society, and the role it plays in making individuals diligently follow it, must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history as the most efficient way—at a level acceptable to the majority—to form social systems, culture, perspectives, and standards. Yet, a sense of disappointment remains.
Just as the quality, shape, and performance of the goods we use are prepared to meet fixed criteria—in other words, to fit into the mold demanded by society—so too are our lives ready-made.
From the moment we belong to society, we fit ourselves into certain rules and norms.
In our everyday lives—when we play, eat, study, or sleep—and on the social timeline—when we are “supposed” to go to school, find employment, or get married—we learn to shape our bodies to fit these molds.
A society that considers moving and using one’s own body by choice not as free activity but as deviation; a society of discipline and conditioning.
The way we move our bodies is always set to a certain rhythm and pace.
Humans once slept when the sun set and awoke when the sun rose,
but since industrialization, we have lived in sync with the cycles of machines—remaining awake and in motion as long as they run.
Do we not use even the time and energy we could devote to restoring ourselves for nothing but work, and to keep up with the demands of being a member of society?
A ready-made life.
Rather than hastily defining and categorizing our identities like a manufactured product—
through certain standards, systems, or environmental forces— let us be able to shape our own identities.
Let us all step down from the pedestal of standards,
lower our gaze to meet one another’s eyes,
and take the time to look closely, one by one.
⇩ Exhibition 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