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Care of Me, 2020

Take Care of Me, 2020, Soap, Fragrance, 8x4x2”, 2020

<Take Care of Me> offers a gesture of touch and connection, particularly resonant during the isolating time of COVID-19. 
The sculpture takes the form of a comforting hand—a symbol of love and affection, as hands are often how we reach out to care for one another. With this hand-shaped soap, I can gently pat myself, as if receiving care from another. The form is modeled after my mother’s hand, allowing me to wash my face with it and feel refreshed,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This piece evokes memories of my childhood—specifically, the tender moments when my mother used to wash me with care.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oap recall those forgotten memories, becoming a source of comfort and healing amid the emotional fatigue brought on by the pandemic.

Like the giving tree in Shel Silverstein’s The Giving Tree, this hand sculpture disappears through its generosity. Yet its gradual erosion does not bring sadness. Instead, it offers the hope of healing. The process of its transformation forms an internal timeline within the work, making the act of change a visual record of emotional recovery.

The more I use this sculpture, the more it wears away. But in that ephemeral act, there is care—given and received. For both myself and others, this work becomes a therapeutic object, a quiet offering of comfort in times of emotional vulnerability. I hope it may serve as a small consolation to those who are in need of affection and human connection, especially in these times of isolation.
-
〈Take Care of Me〉는 코로나19 시기 어루만지고 연결하려는 제스처를 상징적으로 담고 있는 작업입니다.
이 손 모양은 위로의 손길처럼 보이며, 사람의 손이 사랑을 담아 다가가는 매개체가 되듯 이 형태는 따뜻한 애정과 돌봄의 상징입니다.

이 비누 조각은 어머니의 손을 본떠 만든 것으로, 나는 이 손을 통해 누군가의 따뜻한 마음과 온기를 느끼고, 나 자신과 나눌 수 있습니다.
비누 손으로 나는 얼굴을 씻어내고 어루만지며 나는 스스로를 돌보고 마음을 정화하는 느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작업은 내가 어린 시절, 어머니가 내 몸을 씻기고 보살펴주던 기억에서 출발했습니다.
〈Take Care of Me〉를 통해 나는 잊고 있었던 어머니와의 어린 시절 기억을 다시 떠올릴 수 있었고,
이 손 조각은 팬데믹 이후 쌓여온 정서적 피로를 치유해주는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손은 사라져가면서도 너그러움을 전하는 존재입니다.
셸 실버스타인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처럼, 이 비누 조각은 점점 닳아 없어지지만, 그 소멸은 슬프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내 마음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비누 조각의 변화는 작업 안에 내면의 시간성을 형성하고, 그 변화의 과정은 감정 회복의 증거로 작용합니다.
사용할수록 점점 작아지는 이 조각은 덧없지만 부드러운 치유의 행위가 되어, 
나 자신은 물론, 정서적 돌봄이 필요한 관객들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고립고 단절이 만연한 시대에, 이 손 하나가
누군가에게 다정함과 연결을 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after a year

Back to Top